맨위로가기

성주 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주 도씨는 고려 시대 정승 도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본관은 경상북도 성주이며, 고려 명종 때 도순을 기세조로 한다. 도유도를 파조로 하는 전서공파 등 24개 파와 도유덕을 파조로 하는 성주파 등 9개 파로 나뉜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 벽상공신 도홍정, 이성계의 휘하에서 활약한 도길부, 불사이군의 절개를 지킨 도응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54,545명이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724호인 성주 도씨 종중 문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 도씨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성주 도씨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성주 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씨 문장
도씨 문장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성주군
관련 인물도종환
도지원
디오 (가수)
웹사이트성주 도씨 대종회
한자 표기
한국어성주 도씨 (星州 都氏)
로마자 표기Seongju Do ssi
다른 이름팔거 도씨(八莒都氏), 성산 도씨
기원
중시조도순(都順)
주요 거주지
집성촌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북도 경산시
대구광역시 달성군
대구광역시 군위군
대구광역시 달서구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고성군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남도 천안시
주요 인물
인물도길부
도응
도형
도성유
도응유
도경유
도신수
도신징
도진희
도일규
도종이
도종환
도진순
도태우
도건우
도지원
통계
2015년 인구54,545명
기타 정보
관련 웹사이트성주도씨 대종회

2. 역사

고려 창업에 공훈을 세운 '''도진'''(都陳)이 정승(政丞)에 올라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에 봉해지고 식읍으로 하사받은 성주(星州)에 세거하였다고 한다.

이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명종 때 전리상서(典理尙書)를 역임한 '''도순'''(都順)을 기세조로 한다. 도순의 손자인 도유덕(都有德)은 고려 때 명경진사로 종부판사에 봉직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3. 본관

성주(星州)는 경상북도 성주군이다. 신라 때 본피현이었는데, 757년에 신안현으로 고쳐 성산군에 속하였다. 이후 벽진군으로 불렸고, 940년(고려 태조 23) 경산부로 개칭하였다가 경종 때 광평군이 되었다. 조선 인조 때 성산현이 되었다가 1895년에 성주군으로 개칭되었다.

4. 분파

성주 도씨는 크게 3세 도유도(都有道)를 파조로 하는 전서공파와 도유덕(都有德)을 파조로 하는 성주파로 나뉜다.

전서공파의 분파는 다음과 같다.

파명파조
양직당공파(養直堂公派)도성유
화재공파(華齋公派)도정유
서재공파(鋤齋公派)도여유
사정공파(司正公派)도명유
취애공파(翠厓公派)도응유
일암공파(逸岩公派)도언유
낙음공파(洛陰公派)도경유
경암공파(敬岩公派)도이유
지재공파(智齋公派)도내유
주부공파(主簿公派)도염조
공신공파(功臣公派)도현종
판관공파(判官公派)도흥종
경재공파(景齊公派)도순신
처사공파(處士公派)도윤중
효자공파(孝子公派)도금동
평리공파(評理公派)도세영
백재공파(栢齋公派)도욱
만호공파(萬戶公派)도승
교리공파(校理公派)도하
예빈경공파(禮賓卿公派)도언청
모암공파(慕菴公派)도언수
진사공파(進士公派)도천계
선략공파(宣略公派)도덕인
참의공파(參議公派)도이첨
병은공파도경효



성주파의 분파는 다음과 같다.

파명파조
행정공파(杏亭公派)도형
운재공파(雲齋公派)도균
소위공파(昭威公派)도영수
검교공파(檢校公派)도영창
시승공파(侍承公派)도길생
청송당공파(靑松堂公派)도응
판서공파(判書公派)도인형
한림공파(翰林公派)도언증


5. 주요 인물


  • 도홍정 : 고려 공민왕 때 벽상공신으로 삼중대광보국 문하시중(三重大匡輔國門下侍中)에 오르고 칠곡부원군(漆谷府院君)에 봉해졌다.
  • 도길부 : 도홍정의 아들. 1380년(우왕 6) 왜구가 경산부(京山府)에 침입하였을 때 원수가 되어 이성계의 지휘를 받아 이를 토벌하였다. 1382년 한양천도 때 이인임 등과 함께 왕을 호종(扈從)하였다. 권신 이인임의 인척으로 중용되어 대언(代言)이 되었으며, 이듬해 제조정방(提調政房)이 되었다. 1388년 찬성사에 이르렀다.
  • 도응 : 이성계의 죽마고우로, 조선 건국 후 은거하며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 도형 : 기묘사화을사사화로 두 번 파직되었다가 복권되었다.
  • 도성유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하였고, 이언적이황의 문묘 종사를 변호하였다.
  • 도응유 : 이괄의 난정묘호란 때 활약하였으며, 주리파 성리학을 강조하였다.
  • 도경유 : 정묘호란 때 세자를 호종하였고, 병자호란 때 쌍령전투에서 패전하였다.
  • 도신수 : 문과 급제 후 호조정랑, 함흥 판관, 울산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도신징 : 도신수의 동생으로, 제1차 예송 논쟁에서 기년설을 주장하여 서인을 축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 도석훈 :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사헌부 감찰, 사간원 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 도상록 : 북한의 핵개발을 주도한 물리학자이다.
  • 도일규 : 제32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냈다.
  • 도종이 : 제1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도종환 : 제19·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5. 1. 고려

고려 창업에 공훈을 세웠던 '''도진'''(都陳)이 정승(政丞)에 올라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에 봉해지고 식읍으로 하사받은 성주(星州)에 세거하였다고 한다.

이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명종 때 전리상서(典理尙書)를 역임한 '''도순'''(都順)을 기세조로 한다. 도순의 손자인 도유덕(都有德)은 고려 때 명경진사로 종부판사에 봉직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5. 2. 조선

도응은 이성계의 죽마고우로서 고려 말 찬성사(정2품)를 지냈으나, 1392년 조선 건국 후 태조가 상장군(정3품)에 임명하자 사퇴하였다. 그 뒤 충청도 홍주(현재의 홍성군) 노은동에 은거하며 다섯 차례의 조정의 부름을 모두 거절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켰다. 태조는 그의 곧은 절의를 찬탄하여 청송당이라는 호를 내렸다.[1]

도형(1480년 ~ 1547년)은 1519년(중종 14) 조광조 등이 사림 정치를 주도하면서 현량과에 천거되어 3등으로 급제하여 전적, 공조좌랑, 형조좌랑, 호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해 11월 기묘사화로 파직되어 향리에 물러나 학문에 전념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 8월 인종의 유언으로 현량과 동료들과 함께 복권되어 성균관 전적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달 을사사화가 일어나 다시 파직되었다.[1]

도성유(1571년 ~ 1649년)는 정구와 서사원의 제자이다. 문장과 행실이 당대에 뛰어났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사원을 따라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하였다. 1611년(광해군 3) 5월, 정인홍이언적이황의 문묘 종사를 반대하자, 손처눌 등과 함께 이언적·이황을 변호하고 그해 8월 오현(五賢)의 문묘 종사 때에 신판(神版)의 글씨를 썼다.[1]

도응유(1574년 ~ 1639년)는 1613년(광해군 5년)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최영경을 구하고 오현(五賢)의 문묘 종사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이언적·이황을 배척하자 그 잘못을 반박하였고, 박이립 등이 정구를 모함하자 상소하여 스승의 억울함을 해명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에 의병을 일으켰으며, 1627년 정묘호란에는 소모장(召募將)이 되어 정경세를 도왔다. 주리파 성리학을 강조하여 경험적 세계의 현실 문제·사회 문제보다 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을 중시하였다. 대구 병암서원에 봉향되었다.[1]

도경유(1596년 ~ 1636년)는 정구·서사원의 제자이다. 1624년(인조 2) 사마시에 합격하고 정묘호란 때 호남으로 세자를 모셨으며, 난이 끝난 뒤 금부도사, 평양 서윤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경상도 관찰사 심연의 종사관이 되어 쌍령전투에서 쌓아놓은 화약의 폭발 사고로 패전하였다. 사후 승지로 추증되었다. 대구병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낙음집(洛陰集)』 6권 2책이 있다.[1]

도신수(1598년 ~ 1650년)는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27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호조정랑, 함흥 판관, 울산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달성용호서원에 배향되었다.[1]

도신징(1611년 ~ 1678년)은 도신수의 동생이다.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예제(禮制)에 밝았다. 1674년(현종 15) 인선왕후의 상에 자의대비가 입어야 할 상복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어나 대공복(大功服)을 입어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어졌다. 유생의 신분으로 상소를 올려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함으로써, 김수흥 등 서인 일파를 축출하게 하였다. 뒤에 남인의 천거로 1675년(숙종 1) 강릉 참봉이 되고, 이어 주부를 거쳐 용궁 현감으로 나가 치적을 올림으로써 통훈대부의 품계에 올랐다.[1]

도석훈(1812년 ~ 1877)은 1869년(고종 6년) 별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통훈대부, 사헌부 감찰, 사간원 정언, 사헌부 장령, 어모장군을 지냈다.[1]

5. 3. 근현대

6. 항렬자

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
○환(煥)기(基)○○종(鍾)법(法)○○격(格)혁(爀)○○숙(塾)

[4]

7. 집성촌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덕계리
대구광역시 군위군 의흥면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면 서재리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석천리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벌곡면 대덕리, 상월면 한천리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중촌리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삼덕리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해평동
경상북도 군위군 의흥면 이지동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녹명동[4]


8. 문화재


  • 성주 도씨 종중 문서: 조선 태조 때 도응에게 발급된 사령왕지(辭令王旨)와 녹패(祿牌)이다. 대한민국 보물 제724호로 지정되었다.[1]

9. 인구

연도인구
2000년46,186명
2015년54,545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성주도씨 星州都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8
[3] 웹사이트 "(146)성주 도씨(星州都氏)-46,186명" http://www.seoulecon[...] 2023-07-28
[4] 웹사이트 도씨(都氏) 본관(本貫) 성주(星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